728x90
1. github 저장소 생성
2. github 저장소 클론
3. 내 컴퓨터의 내 문서 아래에 생성된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파일 생성 및 작업 완료
4. 커밋할 파일들 선택해서 스테이지에 올리기(add)
5. 커밋하기 (commit)
6. 푸시하기
git이란?
형상 관리 시스템의 한 종류
커밋 (commit) ⭐
게임의 세이브에 해당하는 행동을 git에서 커밋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언제든지 커밋한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커밋을 하려면 저장을 원하는 파일들을 묶어서 커밋 명령을 수행하면 된다.
커밋 = save
⚠️ 커밋 주의사항
커밋에는 주의사항이 있다.
1. 반드시 한 번에 하나의 논리적 작업만 커밋한다.
2. 커밋 메시지를 잘 적어야한다.
커밋 메시지는 꼼꼼하게 작성해야한다.
커밋 메시지 작성법
1. 첫 줄에 간단하지만 명확하게 내용을 쓴다.
2. 한줄 비우고
3. 자세한 내용을 적는다.
(2와 3은 옵션이지만 가급적이면 해주면 좋다.)
스테이지에 올린다 (add)
앞에서 커밋하기 전에 저장을 원하는 파일들을 묶는 일을 해야한다고 했다.
이 작업을 스테이지에 파일을 올린다라고 한다.
github에 업로드 (push)
커밋을 하면 이제 현재 작업 내용의 세이브 데이터가 내 컴퓨터에 저장된다.
이걸 github에 업로드하면 다른 사람이랑 공유할 수도 있고, 내 컴퓨터의 데이터가 날아가도 안전하게 다시 복구 가능하다.
github에 업로드하는 걸 git에서는 push라고 한다.
728x90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외모 check-! 이 아닌 checkout (0) | 2024.11.12 |
---|---|
[Git] Git 명령어 (0) | 2022.10.30 |
[Git] Git Workflow (0) | 2022.10.29 |
[Git] Git 설치 | 설정 파일 | 전역 설정 (0) | 2022.10.26 |
[Git] Git | 장점 | branch 전략 | 동작원리 (0) | 2022.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