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과 기본 자료형
기본적인 자료형에는 문자열, 숫자, 불이 있습니다.
문자열(string)
: 메일 내용, 메시지 내용 등 ex. "안녕하세요", "HelloWorld"
숫자(number)
: 물건의 가격, 학생의 성적 등 ex. 52, 203.34
불(boolean)
: 친구의 로그인 상태 등 ex. True, Flase
자료형(data type)
: 자료의 형식
파이썬에서는 자료의 형식을 확인할 때 type()함수를 사용한다.
문자열(string)
문자열은 문자들을 큰따옴표(")로 감싸서 만듭니다. 작은따옴표(')로도 문자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나 같은 결과를 출력합니다.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
: 역슬래시(\)기호와 함께 조합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문자입니다.
\와 함께 큰따옴표, 작은따옴표를 사용하면 이를 '문자열을 만드는 기호'가 아니라 '단순한 따옴표'로 인식합니다.
\": 큰따옴표를 의미
\': 작은따옴표를 의미
\n: 줄바꿈을 의미
\t: 탭을 의미
\\: 역슬래시(\)를 의미합니다.
문자열 연결 연산자: +
"문자열" + "문자열"
파이썬의 경우에는 '숫자 더하기 연산자'와 문자열 연결 연산자'를 같은 기호로 사용하지만
내부적으로 완전히 다른 수행을 하는 연산자입니다.
문자열 반복 연산자: *
문자열을 숫자와 * 연산자로 연결하면 문자열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 * 숫자'순으로 입력해도 됩니다. 또한 '숫자 * 문자열'순으로 입력해도 됩니다.
문자 선택 연산자(인덱싱): []
:문자 선택 연산자는 문자열 내부의 문자 하나를 선택하는 연산자입니다.
대괄호[] 안에는 선택할 문자의 위치를 지정하며, 이 숫자를 인덱스라고 합니다.
제로 인덱스
: 숫자를 0부터 세는 것
원 인덱스
: 숫자를 1부터 세는 것
print("문자 선택 연산자에 대해 알아볼까요?")
print("안녕하세요"[0])
print("안녕하세요"[1])
print("안녕하세요"[2])
print("안녕하세요"[3])
print("안녕하세요"[4])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슬라이싱): [:]
>>> print("안녕하세요"[0:2])
안녕
[0:2]라고 입력하면 (뒤의 숫자)번째까지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뒤의 숫자 -1)번째까지 선택됩니다.
그래서 [0:2]는 0번째 글자부터 1번째 글자를 선택합니다.
[] 기호를 이용해 문자열의 특징을 위치에 있는 문자를 참조하는 것을 인덱싱이라고 합니다.
[:] 기호를 이용해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는 것을 슬라이싱이라고 합니다.
len()
: 문자열 길이를 구할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print(len("안녕하세요")) -> print(5) -> 5
숫자
정수형 - 소수점이 없는 숫자
실수형 - 소수점이 있는 숫자
부동 소수점 - 소수점이 움직이는 숫자
int(integer) - 정수
float(floating point) - 부동 소수점(실수)
제곱 연산자: **
TypeError: 예외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컴퓨터 프로그램, 파이썬 및 용어들 (0) | 2022.01.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