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쓰고 잤어야했는데 피곤해서 그냥 잠들었다.
마치 어제 작성한거처럼 타임머신을 타고 작성해보겠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사용자가 도서 제목이나 작가 이름을 검색하면 원하는 책의 결과 목록이 나오도록 만들고자 했다.
그러나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출력해 보니, 예상보다 디자인이 만족스럽지 않았다.
하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고 싶었다.
하지만 클론코딩하는 사이트처럼
버튼을 눌러 새로운 창이 열리고, 그 안에 원하는 도서 정보가 출력되도록 만들면 사용자 입장에서도 더 깔끔한 디자인으로 느껴지고,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판단되었다.
토요일에는 그렇게 원하는 도서를 담는 사이트가 api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데 시간을 할애했다.
이렇게
원하는 키워드를 검색하면 관련도서들이 쫘악 나온다.
알라딘 api에서는 최대 50개 밖에 지원을 안한다.
while문과 50 + 새로운 값을 더해서 하면 관련 값이 무한으로 나올 수 있도록 출력이 된다.
그렇지만 알라딘 api가 지원한 값만 출력되도록 만들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책만 검색하니까
api가 지원하는 최대의 권 수를 따랐다.
무한으로 스크롤을 내려서 보는게 아니기에
홈 화면에서 검색 바를 없애야하는가
냅둬야하는가에 대한 결심은 좀 나중에 생각해볼 예정이다.
참고로 스크롤도 나오게 만들었다. 노랑색 스크롤이 내가 만든 웹에서 표시되게 만든 스크롤이고
빨간색 네모가 원래 창의 스크롤이다.
둘 중에 하나를 없애야할거같다. <- 이거는 다른 기능들이 구현이 다 되면 해결할 듯 싶다.
수업에서는 dao코드를 작성할때 jdbc 방식을 이용했다.
나는 mybatis 방법을 사용했다. 이 내용에 대해서도 여유가 되면 이 글을 수정해 더 포스팅 할 예정이다.
'💡 URECA > 📽️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ECA] 독서 목표 설정 및 챌린지 달성 지원 웹사이트 구현을 통한 웹 아키텍처 이해 #6 (0) | 2025.03.18 |
---|---|
[URECA] 독서 목표 설정 및 챌린지 달성 지원 웹사이트 구현을 통한 웹 아키텍처 이해 #5 (0) | 2025.03.18 |
[URECA] 독서 목표 설정 및 챌린지 달성 지원 웹사이트 구현을 통한 웹 아키텍처 이해 #4 (0) | 2025.03.17 |
[URECA] 독서 목표 설정 및 챌린지 달성 지원 웹사이트 구현을 통한 웹 아키텍처 이해 #2 (0) | 2025.03.15 |
[URECA] 독서 목표 설정 및 챌린지 달성 지원 웹사이트 구현을 통한 웹 아키텍처 이해 #1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