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pleStory Finger Point

CSS

html 구조도는 html 중요도에 따라 작성하면 된다. section이나 article요소에도 h도 쓰인다.최신 자료가 article영역이거나 banner가 section이면 h가 필요하다.  관공서 사이트가 웹 표준을 잘 지킨다.  이런식으로 화면 구성을 나눌 수 있다.  각각의 필요한 이미지를 개발자 도구를 통해서 다운받으면 된다.png는 배경이 투명한 것을 허용한다.  css는 중요도가 높은 것을 밑에 작성해야된다. cdnjs - The #1 free and open source CDN built to make life easier for developers cdnjs - The #1 free and open source CDN built to make life easier for develope..
CSS Box ModelContent(내용) - 텍스트와 이미지가 나타나는 상자 내용Padding(패딩) - 콘텐츠 주변에 투명한 영역을 만들어 border과 content사이에 여백을 추가하는 역할border(경계, 테두리) - padding과 content를 둘러싸는 테두리Margin(여백) - border 외부에 투명한 영역을 만들어 요소와 다른 요소 사이의 간격을 조정⭐ CSS로 요소의 너비와 높이 속성을 설정할때는 Content 영역의 width와 height만 설정하면 된다. 요소의 전체 width와 height를 계싼하려면 padding과 border도 포함해야한다. 요소의 총 너비는 350px이고 총 높이는 80px이다.div { width: 320px; height: 50px; pa..
HTTP 메서드란?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관리하는 중요한 방식그러나 잘못 사용시,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GET 방식은 URL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하므로 ?이름=값과 같은 형태로 데이터가 노출된다.반면 POST 방식은 데이터를 요청의 본문(Body)에 포함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성이 더 높다.그렇지만 두개의 방식 모두 적절한 보안 조치를 적용하지 않으면 취약점 발생 💀 PUT 방식은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하는 HTTP 메서드이다.DELETE 방식은 데이터를 삭제할때 사용하는 HTTP 메서드이다.이들은 RESTful API에서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작업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RESTful이란?HTTP 메서드(GET, POST, PUT, D..
· 📦 CSS
1단계 #pond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flex-end; } 2단계 #pond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flex-end; } 3단계 #pond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around; } 4단계 #pond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between; } 5단계 #pond { display: flex; align-items: flex-end; } 6단계 #pond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7단계 #pond { display: flex; justify-con..
· 📦 CSS/CSS
Flexbox flexbox는 items을 금 긋기(열, 행을 긋기) 위한 표면적인 레이아웃 방법이다. 페이지의 콘텐츠 상자 안에 아이템을 배치하는 데 사용된다. 페이지의 콘텐츠 상자 안에 아이템을 배치하는 데 사용된다. flexbox는 1차원 레이아웃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는 CSS 속성의 집합 flexbox의 주요 아이디어는 conatiner 요소 내부의 빈 공간이 자식 요소에 의해 자동으로 나눔 flexbox를 사용하면 부모 container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항목을 자동으로 정렬 가능 flexbox는 수직 정렬 및 동일한 높이의 열 생성과 같은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한 flexbox는 floats를 바꾸는데 완벽하고, 더 적은 코드와 HTML과 CSS를 깔끔하게 작성 float에 대해서 ..
· 📦 CSS/CSS
CSS를 활용해 background 특성들을 적어볼 것이다. 일단 그렇게하려면 background 설정을 한다. I am heading section { width: 80%; height: 880px; background-color: palevioletred; max-resolution: 0 auto; } h1 { font-size: 100px; color: white; } background-image 주로 URL을 이용해 적용한 이미지 경로를 지정하는데 이미지가 있는 폴더 위치나 온라인 주소를 넣을 수 있다. section { width: 80%; height: 880px; background-image: url("https://images.unsplash.com/photo-1661956602868-..
· 📦 CSS/CSS
Transform(변형) 사물을 회전시키고 원근도 왜곡할 수 있다. 확대, 축소, 늘리기, 기울이기 등도 할 수 있다. h1 { background-color: #2a9d8f; border: 5px solid #264653; color: #eae2b7; padding: 0.7em; width: 300px; font-size: 1.8em; text-align:center; margin: 20px auto; font-family: Courier New; font-weight: lighter; } h1:nth-of-type(2n) { background-color: #fb5607; } h1:nth-of-type(3n) { background-color: #ff006e; } h1:nth-of-type(4n) {..
· 📦 CSS/CSS
상대적인 단위 EM(엠이라 발음) CSS 전부터 쓰인 오래된 용어이다. 대문자 M의 높이, 너비 그리고 타이포그래피와 연관이 있다. em은 rem처럼 상대적 단위이며 다른 값에 영향을 받는다. 특성에 따라 다른 값이 바뀐다. 글꼴 크기를 1em으로 설정하면 부모의 요소와 똑같은 크기가 된다. (2em은 부모 요소보다 2배 큰거다.) 항상 다른 값과 상대적이다. (무언가의 퍼센티지란 의미이다. 설정하는 특성이 그 무언가이다.) width를 요소의 50%로 설정하면 부모 요소의 절반 너비를 설정하는 것이다. 페이지 중앙에 컨테이너가 있다고 가정을 해본다. 블로그 포스트이다. width는 800px이다. 다른 요소가 그 너비의 40%나 80%를 차지하게 하고 싶다면 %를 사용하면 된다. 굳이 픽셀값을 계산할 ..
· 📦 CSS/CSS
Margin(여백) Margin은 바깥 공간을 다루는 거다. 여백은 기본적으로 요소 사이의 공백이다. margin도 마찬가지로 4개의 개별 특성이 있다. margin-left margin-right margin-bottom margin-top Margin shorthand property (속기법 특성) 패딩의 속기법과 같은 원리로 작성하면 된다. 4개의 개별 특성을 한번에 작성하는 것이다. 속기법 특성에는 4가지 방법이 있다. padding값을 적기 전 모습이다. 1. 하나의 값으로 전체를 적용한다. 1번은 여백을 넣기 전이고 2번은 여백을 50px로 설정해 넣었다. #one { background-color: #DDB892; border-width:10px; border-color: indian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