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t 편하게 읽는 방법
로그인 하면 jwt를 복사하고 jwt.io 사이트에 들어간다.
JSON Web Tokens - jwt.io
JSON Web Tokens - jwt.io
JSON Web Token (JWT) is a compact URL-safe means of representing claims to be transferred between two parties. The claims in a JWT are encoded as a JSON object that is digitally signed using JSON Web Signature (JWS).
jwt.io

녹색 글자 -> decoded header
검은색 글자 -> payload
iat -> 생성 시간
exp -> 만료 시간
파란색 -> jwt sigatiure verification (변경 여부를 살핀다.)


왼쪽 사진에서 encodeToStirng("솔트") 여기 텍스트와 오른쪽 텍스트가 같으면 Signatuure verified가 뜬다.
지금은 강의 시간에 복붙한거라 failed가 뜬거같다.
jwt토큰은 해커가 jwt.io같은 사이트에서 payload하여 바로 볼 수 잇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hash값으로 보면 볼 수 없다. <- 좀 더 적기
jwt 토큰이 표준이라고 해서 좋은게 아니다! 해커가 틈틈이 노리고 있을 수 있다. 조심하기!

파싱을 할때 두번째 gi에서 java.xml.bind가 필요
아마존 aws 계정 만들기


aws 계정 생성 버튼을 누른뒤 언어에서 한국어 지원을 눌러준다! (외국 사이트에서 한국어 지원이라니! 💖)

이메일과 이름을 입력하면
인증 코드가 날라온다.
인증 코드 역시 입력해주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

암호도 입력해주고

한국말로 인식을 못해 그냥 언어를 영어로 바꾼뒤 영어로 주소를 입력해줬다.



카드 정보 역시 다 입력을 해준다.



전화번호


'💡 URECA > 🗒️ 스터디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ECA] Day 36 미니프로젝트 (0) | 2025.03.19 |
---|---|
[URECA] Day 35 (0) | 2025.03.17 |
[URECA] day 33 (0) | 2025.03.13 |
[URECA] Day32 | 쇼핑몰 총정리 (4) | 2025.03.12 |
[URECA] Day 31 | backend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