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규칙이란? 변수 이름 + setter + getter
dao나 service는 biz중심이라 (메서드 중심적이다.)
데이터 중심적이지 않기에 이름규칙을 지키지 x
특별한 타입의 클래스를 표시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를 활용한다.
서로 같은 표현, 오른쪽이 인터페이스 활용
결국은 클래스들의 분류를 위한 것이다.
타입을 나누는 것, 이 타입을 통해서 특별한 클래스임을 인식하고 프레임워크에서는 이 객체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올렸다가 다 쓰면 알아서 객체를 해지한다.
객체의 모든 수명을 권장하는 작업을 한다.
⭐⭐⭐⭐⭐
웹 브라우저에 정보 저장 3가지 방법
1. cookie
2. session storage
3. local storage
=> 3가지 다 보안 x
그 중 local storage의 수명이 더 길어 bad
쿠키안에 Jessionid = 1을 넣으면 connection 끊어진다.
그런데 서버에서는 1,2,3,4 칸에 있는 것처럼 냅둠
url을 쪼개서 보면
안에 cookies라고 JESSIONID = 1이렇게 생긴다. 쿠키가 여러개면 다 쿠기 온가 온다.
근데 다른 서버에 가진않는다. 왜? URL이 맞는 곳에 간다.
넘어오는 정보는 request가 된다. 오른쪽 동그라미 부분처럼 hsr request를 받아들인다.
그 request객체로 getSession() 갖고 왔니 라고 물어보면 (request객체가 cookie를 가졌니라고 물어보면)
ookies에 있는 jsid가 있으면 네 라고 답변 시 번호를 준다. 없으면 새로 만들어준다. 사물함 번호처럼 부여해준다.
trun할때 자동으로 번호 부여됨 다음에는 header에 포함된다.
안갖고 올때는 getSession(false)라고 입력한다.
session은 서버측 메모리를 의미 그 정보의 sessionID를 쿠키 형태로 브라우저에 전달
부라우저는 메모리에 저장해놨다가 URL이 같을 시 다음 요청에서 계속 갖고 오게 된다.
왜..내..JS에는 자동으로 JESSIONID로 변경이 안된거지..왜...지... 수동으로 입력해야하는건가... 1시간 넘게 잡고있다가 포기..
왜지!!!!!... 와이..?
다 잘 돌아가는데.. 어ㅐ..? 쿠키도 JESSIONID로 되는데
어ㅐ..VSCODE에 있는 index.js는 왜.. JESSIONID으로 변경이 안된거야..?
'💡 URECA > 🗒️ 스터디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ECA] Day 30 | Backend(5) (0) | 2025.03.10 |
---|---|
[URECA] Day 29 | Backend(4) 🛍️ (0) | 2025.03.07 |
[URECA] Day 27 | Backend(2) (1) | 2025.03.05 |
[URECA] Day 26 | SQL(2) (1) | 2025.03.04 |
[URECA] Day25 | SQL(1), JDBC (0) | 2025.02.28 |